UX 디자인 썸네일형 리스트형 피그마(Figma) 아이콘 다운로드 무료 플러그인(Plugin) ‘아이코니파이(Iconify)’ 피그마(Figma)는 다양한 아이콘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플러그인을 제공해 줍니다. 그 중 유료로 제공되는 것들도 있는 반면, 무료로 제공되는 것들 중에도 높은 기능성을 통해 실제 업무에 활용하기 충분한 성능을 보여 주는 플러그인도 많습니다. 그 중 가장 오래된 피그마 플러그인이자 또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플러그인 중 하나인 ‘아이코니파이(Iconify)’를 간단한 활용법과 함께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아이코니파이 (Iconify) 쉬운 검색 및 아이콘 세트별 분류 쉽게 키워드만으로 원하는 아이콘을 검색 가능하며, 특히 아이콘 세트별로 분류가 되어 있어, 원하는 아이콘 스타일을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무료이자 오픈소스 라이선스 무엇보다 무료로 매우 양질의 아이콘들을 종합, 검색할 수 있는 .. 포토샵 시프트(SHIFT) 키로 고정 비율로 크기 변경 기능 복구하기 포토샵은 업데이트될 수록 끔찍한 기능이 추가되는 걸로 최근 유명한데, 그중 최고 중 하나는 크기 변경 시에 가로세로 비율을 강제로 고정시키는 것입니다. 포토샵은 라이트 유저가 쓰는 툴이 아닌데, 왜 이런 기능을 넣었는지 알 수 없습니다. 2019년부터 적용된 사항인데, 다행히 옵션 변경을 통해서 원래의 작동 방식처럼 시프트 키를 활용해서 가로세로 비율을 고정하게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방법은 'Preferences > General > Use Lagacy Free Transform' 기능을 체크해 활성화하는 것입니다. 직역하면 과거의 트랜스포밍 방식을 사용한다인데, 저는 이전 방식이 더욱 익숙하고 또 더 나은 방법이라고 보기 때문에 포토샵 새로 설치 시 기본적으로 해당 옵션을 체크하고 사용하는 편입니다. 피그마(Figma) 오토 레이아웃 스페이싱 모드(spacing mode) 단축키로 빠르게 변경하기 (packed vs space between) 피그마 오토 레이아웃(auto layout)의 핵심 기능 중 하나는 자식 요소들의 배치 방법을 packed(고정 여백으로 나열) 또는 space between(여백을 자동으로 나열) 등 유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는 점이며, 이 기능은 스페이싱 모드(spacing mode)라는 이름을 갖고 있습니다. CSS의 flex 레이아웃 모델을 참고한 이 기능은 여러 엘리먼트를 배치하는 과정을 자동화시켜 주기에 매우 큰 생산성 향상 효과를 선사해 줍니다. 다만 마우스만을 통해 제어하기에는 더보기 레이어팝업을 확인한 후 적용해야 한다는 점에서 다소 사용성이 떨어지는 측면이 있습니다. 피그마는 약간의 작업속도라도 단축시키기를 원하는 사용자들을 만족시키기 위해 스페이싱 모드에 대한 단축키 또한 지원을 합니다. 오토 레이아.. 포토샵 글리프 대체 팝업 안 뜨게 하기 (글자 팝업) 이런 끔찍한 기능을 누가 만들었는지 모르겠지만, 포토샵에서 텍스트를 입력하다 보면 자체적으로 대체 문자가 있는 글자를 인식해서 대체 문자로 변경할 것인지를 질의하는 팝업이 생성되곤 합니다. 작업 흐름이 깨지는 것도 모자라, 생성 빈도수가 매우 높기 때문에 전체 작업 효율에도 지대한 악영향을 줍니다. 환경설정의 값을 변경해 해당 팝업이 생성되는 것을 중단시킬 수 있습니다. 영어 버전의 경우 Enable Type layer glyph alternates를, 한글 버전의 경우에는 ‘문자 레이어 글리프 대체 활성화'라는 옵션을 비활성화하면 됩니다. 이런 끔찍한 기능을 만든 어도비는 반성 좀 하기 바랍니다. 피그마(Figma)에서 트랙패드 줌(핀치줌, Pinch zoom)이 안 되는 문제 2022년 4월 기준으로 맥OS 버전의 피그마 데스크탑 앱에서 트랙패드를 통한 줌인, 줌아웃 인터랙션(핀치줌, Pinch zoom)이 작동하지 않는 이슈가 발견됐습니다. 해당 이슈는 연초부터 보고되기 시작됐으며, 피그마 공식 커뮤니티에에서도 화제가 됐습니다. 글을 작성하는 4월 24일 기준으로, 현재 피그마의 공식적인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피그마는 MacOS의 버그 현상으로 피그마 앱과는 무관하다는 의견을 냈네요. 피그마가 대처법을 강구하고 있는 사이에 불편을 겪고 있는 사용자들이 해당 스레드에 자신들이 발견한 대처법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그 중 유효해 보이는 대처법 중 일부를 공유하오니, 혹시 해당 버그로 인해서 불편을 겪고 계신 분이라면, 활용해서 효율성을 제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알아 둬야 할 .. 피그마(Figma)에서 글씨 기울기, 이탤릭체(italic) 설정하는 법 피그마에서는 강제(faux) 이탤릭체 설정을 할 수 없음 포토샵이나 CSS에서 강제적으로 폰트를 기울이는 faux 방식의 bold, italic체 설정은 피그마에서 할 수 없습니다. 폰트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면 강제 이탤릭체를 주는 것은 폰트를 왜곡해서 사용하는 것과 다름이 없기 때문에, 이탤릭체를 제공하는 폰트에 대해서만 기울기를 주고서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이탤릭체 폰트가 포함된 폰트를 쓰거난 skew로 개체를 변형 권장되는 방법은 이탤릭체를 제공하는 폰트 패밀리를 함께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탤릭체가 포함된 폰트인 경우 폰트 style이나 서체 종류 선택하는 상황에서 italic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폰트가 제공되지 않는 상황에서 디자인적인 이유로 폰트에 기울기를 주어야 하는 상황인 경.. 피그마(Figma)의 이미지 사이즈(해상도) 삽입/첨부 크기 제한 피그마 첨부 이미지의 크기 제한은 4096 픽셀 피그마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동되는 웹 기반의 프로그램입니다. 모든 작업 내용이 클라우드에 기록되기 때문에 대용량 파일을 첨부하는 것은 클라우드 서버 환경에 큰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피그마는 첨부 이미지 삽입 시의 이미지 크기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4096 픽셀이 넘어가는 이미지에 대해서는 첨부 시에 자동으로 리사이징 처리를 하여 피그마에 첨부되도록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대형 이미지를 첨부하려고 하면 피그마가 자동으로 토스트팝업을 통한 안내를 주면서 이미지를 리사이징합니다. 이러한 제약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대형 이미지를 짤라서 넣거나, 이미지 품질을 좀 포기하더라도 해상도를 줄여서 삽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러한 제약사항을 .. 피그마 데스크탑앱에서 export 또는 작업시 색상이 다르게 나오는 문제 해결 피그마 데스크탑앱에서 컬러가 다르게 export 되거나, 작업 환경 상에서 다르게 표시되는 상황이 발생하곤 합니다. 이는 데스크탑앱이 사용중인 컴퓨터의 color space를 그대로 상속받아 사용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color space를 비롯한 디지털색상 관련 추가 리서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포스트에서는 색상이 다르게 보이는 문제해결에 우선순위를 두도록 하고, color space를 비롯한 보다 세부적인 디지털색상 관련 지식은 관련 링크를 포스트 하단에 배치하는 것으로 대체하고자 합니다. 피그마는 기본적으로 sRGB 컬러 스페이스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그렇기에 웹브라우저로 접속시에는 sRGB color space로 표시가 되며, 이는 가장 일반적인.. 이전 1 2 3 4 ··· 6 다음